신변과 신분 지킴이, 실용과 장식 도우미집이나 정자, 누각에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 주면서 내부와 외부를 연결시켜 주는 난간에 도 우리 조상들의 멋과 풍류가 숨어 있다. 가장 많이 쓰였던 목조 난간은 평난간, 계자 난간의 두 종류로, 선의 아름다움과 꽃과 호롱 등 자연미를 동시에 갖고 있다. 목조 난간의 종류와 멋스러움.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는 아낙네가 난간에 기대어 집 밖을 하염없이 바라본다. 얼굴을 드러 낼 수 없는 양반가의 여인의 연못의 부평초를 바라보러 살포시 난간에 다가선다. 난간은 건물의 일 부분이면서 내부 거주자를 외부로 이꾸는 완충 공간의 역할을 한다. 물론 난간이 생겨난 것은 지면보다 높은 바닥에서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이런 연유로 외부에 만들어졌다. 외부에 설치되다 보니 집이나 누각을 꾸미는 치장재로도 쓰였다. | ||
난간의 발생이 언제부 터인지 확실하지 않지 만, 고구려의 장군총, 백제의 동탑편, 통일 신라의 안압지 등 삼 국 시대 건축물에서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삼국 시대 이전 으로 추정된다. 난간은 재료에 다라 목조 난간, 석조 난간 으로 분류된다. 이중 목조 난간은 누(樓), 정자(亭子), 툇마루 등에 가장 보편적으로 설치되었다. 드물게 보이는 석조 난간은 궁궐 정전(政 殿)의 기단이나 돌다 리에 주로 나타난다. |
중방(中枋)에 수직으로 엄지 기둥을 세우고 엄지 기둥에 수평으로 띠장과 두겁대를 넣은 형식이다. 엄지 기둥, 난간 동자, 디장은 거의 사각 단면이며, 두겁대만이 사각과 원형의 단면을 이룬다. 또한 평난간은 궁창부를 단일층으로 하고 쌀짜임과 안상형(眼象形) 가운데 어느 하나만을 넣은 것이 특징 이다. 두겁대와 띠장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받침대를 두어 두겁대가 휘는 것을 막았다. 이 받침대는 창 덕궁 금원의 대극정처럼 호로병 모양이 있고, 창덕궁 낙선재처럼 꽃잎 모양이 있다. | ||
난간의 궁창 모양도 장 식재 역할을 톡톡히 한 다. 평난간에는 창덕궁 낙선재처럼 궁창부에 창호의 창살 무늬 즉 ‘亞’ 자살, ‘卍’ 자살 을 넣는 난간인 교란 (交欄)이 있고 창덕궁 의 소요정, 취규정처 럼 안상의 형태로 뚫은 판으로 메운 안상형 난 간도 있다. 궁창부의 널판에 꽃을 새긴 난간도 있는데 이 는 경복궁 향원정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외에 도 창덕궁 승화루처럼 궁창부에 두 개의 빗살을 X자로 만들어 그 가운데 원형살로 넣고, 난간 동자를 조롱 모양으로 만든 특수 형태의 난간도 있다. 계자난간은 중방에 세운 난간 동자를 계자각(鷄子脚)으로 하고, 이 위에 두겁대를 설치하여 두겁대 가 바닥 끝에서 돌출되게 만든 양식이다. 계자 난간은 궁창부가 단층인 것과 이층인 것 두 가지가 있다. 단층 궁창부에는 안상형이 주로 나타나는데 창덕궁 금원 주합루에서 볼 수 있다. 이층 궁창부이면서 꽃새김된 것으로는 경복궁 향원정 난간을, 안상형으로 새겨진 것은 창덕궁 낙선재 정자 난간을 들 수 있다. |
출처 : 인테리어목수클럽
글쓴이 : 빌트 원글보기
메모 :
'도시경관 > 경관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칼라트라바 (0) | 2009.04.06 |
---|---|
[스크랩] 공공디자인(펌) (0) | 2009.04.06 |
[스크랩] 난간(펌) (0) | 2009.04.06 |
[스크랩] 난간 미학(펌) (0) | 2009.04.06 |
[스크랩] 부산 광안대교 (0) | 2009.04.06 |